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사우디] 사우디 경제 및 에너지 동향('25.06.13.-20.)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6-30
조회수
65

(정보제공: 주사우디대사관)



사우디 경제 및 에너지 동향('25.06.13.-20.)

   


1. 일반경제, 금융 및 투자  

   

o 사우디 국내 금융권의 채권 판매 붐을 보여주는 가장 최근의 예로서, 사우디 SNB(Saudi National Bank)는 약 20억불 규모 이상의 달러화 채권(Tier2 note) 판매를 준비하고 있음.

   

  - 사우디 금융기관들은 2조불 규모의 사우디 경제개혁 관련 각종 기가프로젝트의 자금지원을 위한 대출을 위해 앞다투어 채권을 발행하고 있는바, 올해 후순위채권(junior bank debt) 시장에서 사우디의 입지(역할)가 예전보다 강화됨.

   

o 이스라엘-이란간 분쟁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동지역 증시 상황을 보면 아직은 계획된 IPO가 취소되거나 연기되는 경우는 발생하고 있지 않으나(remain on track), 동 증시에 새로운 기류의 불확실성(uncertainty)이 대두되고 있음.

   

- 따라서 향후 단기간 전망을 보면, 지역적 불확실성의 증가로 대규모 정부지원을 받는 IPO 가능성은 적으나, 여전히 국내에 중점을 둔 소규모 IPOs는 동 리스크의 영향을 적게 받을 것으로 예상됨.


o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동지역 증시 및 항공사 관련 주식이 요동치는 가운데, 사우디 항공사 Flynas의 주가는 IPO 데뷔에서 큰 변동성을 나타냄.

   

- 이스라엘-이란간 분쟁으로 중동지역 일부 국가들이 상업용 항공에 대해 영공을 폐쇄하면서 중동지역 항공사들의 주가가 압박을 받고 있는바, 이번 주 사우디 Flynas의 경쟁사로 여겨지는 UAE Air Arabia는 3% 이상, 쿠웨이트 Jazeera Airways는 4.2% 하락함.

      

o Saudi Electricity Co.는 발전소 확장 등 새로운 프로젝트의 자금조달을 위해 약 10억불 규모의 대출을 고려하고 있음.

   

- 동 Saudi Electricity Co.의 대규모 대출 계획은 사우디내 증가하는 자금조달 수요를 반영하는 것으로, 사우디 정부가 최근 수년간 EM(Emerging Market) 시장에서 최대 규모의 국채를 발행하고 있는 가운데 사우디 기업 및 은행들도 새로운 펀딩 소스를 찾는데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

   

2. 에너지

   

o (IEA 석유시장전망)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중국의 석유 수요 성장세가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멈출 것으로 전망(6.17)하며, 2030년까지 국제석유시장에 초과 공급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한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함.

   

  - IEA는 중국 석유 수요가 2027년에 정점을 기록하고, 중국 국내 전기차 판매가 급증하면서 2030년까지 중국의 석유소비가 최대 약 일 100만배럴 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o (OPEC+ 생산동향) OPEC의 최근 보고서(6.16)에 따르면, 주요 OPEC+ 국가들은 5월에 계획했던 일 411,000배럴 보다는 훨씬 적은 규모인 일 154,000배럴을 시장에 추가 공급한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이라크, UAE, 러시아 등 과거 쿼터 초과 생산을 했던 일부 산유국들이 보상적 감산을 시행한 것에 기인함.

   

  - 그러나 5월 OPEC+ 주요 8개 산유국의 총 생산량은 거의 일 400,000배럴로 월 목표치를 초과한바, 이는 카자흐스탄의 여전한 쿼터 초과 생산에 기인함.

   

  - 사우디는 5월에 계획대로 일 177,000배럴을 증산해 동월 일평균 918.3만배럴을 생산한 것으로 나타남.

   

3. 산업

   

o 이번 주 개최된 Paris Air Show에서 Tony Douglas 리야드 에어(Riyadh Air) CEO 인터뷰에 따르면, 동 항공사는 운영 개시 이후 매 2개월마다 새로운 취항지를 추가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PIF 소유의 사우디 스타트업 항공사인 리야드 에어는 올해 내 보잉 B787s 드림라이너 항공기를 수령할 준비가 되어 있는바, 운영 개시 후 2개월마다 새 취항지를 추가해 2030년까지 약 100여개 도시에 취항을 목표로 하고 있음.

   

o Paris Air Show에서 리야드 에어는 장거리용 항공기인 Airbus A350-1000를 최대 50대까지 주문(약 170억불 규모)*한다고 발표한바, 리야드 에어가 플래그쉽 항공기(flagship aircraft)로 경쟁기종인 美 보잉사 B777X 대신 Airbus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남.

   

   - 동 Airbus A350 주문 이전에 리야드 에어는 이미 단거리용 Airbus A321neo 60대 및 보잉 B787 (최대) 72대(옵션) 주문하였으며, Airbus A350항공기는 2030년부터 리야드 에어에 공급될 예정임.

   

o PIF는 약 4천만명 이상의 방문자를 기대하는 2030 리야드 엑스포 설비를 구축하고 운영(문화프로그램 및 이벤트 관리 등)할 ‘Expo2030 Riyadh Company(ERC)’ 설립을 발표(6.19)함.

   

  - PIF가 지분 100%를 보유하는 동 ERC는 2030 리야드 엑스포 마스터 플랜에 따라 킹살만 국제공항에 인접한 리야드 북쪽의 6백만 스퀘어미터의 지역 개발 및 운영관리를 담당할 예정

   

4. 유가 동향 (6.20일, 8월 계약 기준 Brent $77.01, WTI $74.93)

   

o 유가는 이번 주 거래 첫날(6.16) 중동 분쟁상황이 이란의 원유생산 및 공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가 나타나고 이란이 이스라엘과의 긴장 완화(de-escalation)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하락(Brent $73.23, WTI $71.77)함.

   

- 그러나, 동 하락에도 불구하고 석유시장은 중동 산유국에게 핵심 사안인 호르무즈 해협 상황 포함 현재의 분쟁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음.

   

- 현재의 중동 분쟁은 일부 선적사들이 중동지역 선적을 거부하는 등 이미 원유 수송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는 연료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음.

   

o 그러나 미국이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에 참여할 수 있는 추측(speculations)이 나오면서 중동지역의 원유공급 교란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어, 거래 이튿날(6.17) 유가는 지난 5개월간 최고 수준으로 급상승(Brent $76.45, WTI $74.84)함.

   

- 美 트럼프 대통령과 국가안보팀과의 면담은 이러한 추측을 강화하며, 유가 변동성(volatility)은 지난 3년간 최고치를 기록함.

   

- 현재 국제석유시장은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통한 원유흐름의 교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경우, 중동 → 중국 원유수송 비용이 약 50% 이상 증가할 수 있음)에 대해 상당히 우려하고 있는바, 투자자들이 6월 유가 급등에 베팅하는 옵션 트레이딩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o 유가는 6.18(수) 중동지역의 전쟁 상황이 악화될 수 있는 우려 속에 변동성이 심한 트레이딩 형태를 보이며, 소폭이나마 상승세를 유지(Brent $76.70, WTI $75.14)함.

   

- 미국의 중동 분쟁 관여(involvement) 가능성으로 WTI의 경우 0.4% 상승해 $75불 선을 넘어선바, 이는 올해 1월 이후 최고치임.

   

- 美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공격 가능성에 대한 언급은 국제석유시장의 심리를 크게 흔들며 유가의 변동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지난 십년간 최대 프리미엄에 베팅하는 옵션 투자(bullish options)가 증가함.

   

o 유가는 美 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공격에 대해 2주내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함으로써 미국이 당장 중동분쟁에 뛰어들지는 않을 것이라는 시장의 추측이 우세해지면서, 6.19(목)에는 이전의 상승세를 소폭 이어나갔으나(Brent $78.85, WTI $75.80), 6.20(금) 하락(Brent $77.01, WTI $74.93)으로 마감함.


- Wael Sawan Shell Plc CEO는 현 중동분쟁이 핵심 해상루트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라는 결과를 야기한다면 국제교역에 ‘지대한 영향(huge impact)’를 미칠 것이라고 경고함.

   

- Abbas Araghchi 이란 외무부 장관은 유럽측 대표들과의 만남에서 우라늄 농축 제한에 대한 논의를 할 의향이 있음을 비추었으나, 또한 공격이 지속되는한 관련 회담은 열릴 수 없음을 경고함.

   

o 유가(Brent 기준)는 이란의 이란 공격 개시 이후, 현재(6.20일) 기준 약 $10 상승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바, 시장에 이미 충분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유가에 반영되어 있다고 고려됨.

   

  - 그러나 최근 美의 이란 핵시설 공격 개시 이후 유가(Brent 기준)는 한때 5.7% 급등해 $81.40까지 상승.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